java7 [Java] Spring servlet-context.XML파일 설정 다음은 Servlet-context.xml 파일을 설정할 차례이다. 첫째로, 네임스페이스로 들어가서 tx를 체크해주고 저장하자. 다시 Source로 돌아가 다음 코드를 추가해준다.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등의 Annotation을 component-scan을 선언해서 사용하고 있다. base-package는 패키지를 어디부터 스캔할지 지정해주는 부분이다. ","를 이용하여 여러개 지정해 줄 수도있다. transactionManager는 Service에서 트랜잭션을 한번에 처리할때 commit을 한번에 도와주는 코드이다. 2019. 11. 18. [Java] Spring web.XML파일 설정 이번 글은 web.xml파일을 설정하는 순서이다. web.xml을 실행하고 밑에 Source탭을 누르면 코드들이 나오는데 거기에 밑에 코드를 추가해준다. welcome-file은 서버주소를 입력하게되면 가장먼저 페이지를 읽어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태그이다. filter설정을 통해 .do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인코딩해서 보내주도록합니다. param-value -> classpath:applicationContext.xml을 추가해주도록 합니다. 서버를 시작할때 파일안의 Database정보를 이용하여 DB와연동 classpath === src/main/resources를 의미 저장! webapp밑에 index.jsp파일을 만든 후 웹상에 띄울 문구를 적어주고 서버를 실행해봅시다. 다음과같이 화면이 나오면 we.. 2019. 11. 18. [Java] Spring POM.XML파일 설정 이제 기본적인 Eclipse세팅은 끝났습니다. 이제 서버를 실행할때 실행할 파일들과 라이브러리를 받아오기위해 설정해주어야할것들이 생기는데요. 오타없이 천천히 잘 따라오시길 바랍니다. 1. POM.xml Spring Legacy Project를 보면 pom.xml이 생성되어 있다. 프로젝트의 버전정보 및 프로젝트 내부의 빌드 옵션,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자바버전, 라이브러리, 플러그인 구성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게 각 설정정보를 XML 파일에 문서화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개발자가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직접 추가했지만, Maven을 사용하면 pom.xml 문서에 사용하고자 하는 라이브러리를 등록하여 자동으로 프로젝트에 추가 시켜준다. POM.xml을 더블클릭하면 위와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Properties.. 2019. 11. 18. [Java] Eclipse부터 STS까지 세팅하기 - (4) Installation STS 이제 STS를 설치해보자 방법은 2가지가있습니다. Help -> Eclipse MarketPlace에서 STS 검색 후 설치하는 방법 검색 실패 시 Help -> Install new software에서 링크를 등록해줘 설치하는 방법 검색 후 설치는 바로 설치하면되니 링크로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Install New Software를 들어가서 Add를 누르면 위와같은 창이 생성됩니다. Name은 STS로 적어주시고, Location은 https://spring.io/tools3/sts/all Spring Tool Suite™ 3 (STS 3) Download page Use one of the links below to download an all-in-one distribution for y.. 2019. 11. 1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