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기본적인 Eclipse세팅은 끝났습니다.
이제 서버를 실행할때 실행할 파일들과 라이브러리를 받아오기위해 설정해주어야할것들이 생기는데요.
오타없이 천천히 잘 따라오시길 바랍니다.
1. POM.xml
Spring Legacy Project를 보면 pom.xml이 생성되어 있다.
프로젝트의 버전정보 및 프로젝트 내부의 빌드 옵션,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자바버전, 라이브러리, 플러그인 구성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게 각 설정정보를 XML 파일에 문서화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개발자가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직접 추가했지만, Maven을 사용하면 pom.xml 문서에 사용하고자 하는 라이브러리를 등록하여 자동으로 프로젝트에 추가 시켜준다.
POM.xml을 더블클릭하면 위와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Properties에서 Java-version에서 1.6 -> 1.8
org.springframework-version-> 5.0.6 RELEASE(현재 안정화는 5.2.1)
(자신의 버전에 맞게)
수정을 해줍니다.
Project우클릭 -> Properties -> Project Facets -> Java 1.6 --->1.8로 변경
Runtimes -> Server체크 -> apply and close
Servers 더블클릭
Modules -> Edit -> Path : -> / 로 수정
저장은 필수입니다 :)
WEB-INF 아래에 폴더 lib를 만들어 주시고 다음 라이브러리를 넣어두시면됍니다.
이제 POM.xml에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줍니다.
pom.xml로 들어가서 mybatis라이브러리를 추가합니다. 방법은
위와같은 코드를 작성해 주면 자동으로 spring이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Spring framework도 추가해줍니다.
이렇게 pom.xml 설정을 완료합니다.
'Settings > Eclip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Spring servlet-context.XML파일 설정 (0) | 2019.11.18 |
---|---|
[Java] Spring web.XML파일 설정 (0) | 2019.11.18 |
[Java] Eclipse부터 STS까지 세팅하기 - (4) Installation STS (0) | 2019.11.18 |
[Java] Eclipse부터 STS까지 세팅하기 - (3) Maven Setting (0) | 2019.11.18 |
[Java] Eclipse부터 STS까지 세팅하기 - (2) Server Setting (0) | 2019.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