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0 Project(1) - 학사 정보 시스템 만들기 - Login 화면 틀잡기 ※ 학사 정보 시스템을 만들어보자 - Front 틀 잡기 로고만들기 사이트 - https://ko.wix.com/logo/maker FrontEnd 틀 잡기 좋은 사이트 -> https://ovenapp.io/ OvenApp.io Oven(오븐)은 HTML5 기반의 무료 웹/앱 프로토타이핑 툴입니다. (카카오 제공) ovenapp.io 이곳에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하면 이렇게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다. 적정 이름과 사용할 기기의 사이즈를 선택 해주면 이렇게 화면이 구성되어 어느정도 틀을 잡기 편하다. 로그인 화면만 만들어보자면 이런식으로...?? 저는 화면 구성을 할때 HTML파일을 편한게 구성하기위해 Brackets Tool을 사용합니다. 서버를키지않고 바로바로 구동화면을 새로고침 해주기 때문입니다. 그.. 2019. 11. 18. [Git] GitHub Eclipse 연동하기 이번 글은 Git과 Eclipse를 연동하는 글을 작성해보려한다.(Git아이디와 repository가 생성되어있다는 전제하에 진행) 1. git repository 주소 확인 Clone or download를 클릭하면 Git repository의 주소를 복사할 수 있다. 2. STS에 저장소 연결하기 Window - Show View - Other - Git repository 검색 후 추가 탭이 추가되면 Clone a Git repository 클릭 3. Cloan URI 클릭 후 Next URI에 Github에서 repository URI를 복사해주고 Authentication에는 Github에 접속하는 계정이름과 비밀번호를 적어준다. Directory에 소스파일들이 저장될 경로를 지정해주고 Fini.. 2019. 11. 18. [Java]Spring mapper.xml 설정 이제 DB에서 처리 할 쿼리문을 작성해주는 mapper를 설정 할 차례이다. 생성방법은 config파일과 비슷하다. 예시로 객체 이름은 student로 하겠다. applicationContext.xml 에서 mapper파일의 끝에 SQL을 설정해주어서 mapper뒤에 SQL을 붙여야 쿼리문이 수행된다. DTD File선택 성공적으로 적용된 mapperSQL.xml파일 태그 안에 아이디가 포함된 쿼리문을 작성해주면된다. 이제 Spring Mybatis 설정이 끝났다. 이 설정을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자 2019. 11. 18. [Java]Spring mybatis-config.xml 설정 파일을 생성하기전에 설정을 하나 더 해줍니다. Window -> Preferences -> XML -> XML Catalog -> Add Location과 Key에 다음 문구를 오타없이 입력하세요. 추가 됐으면 다음 코드도 입력해서 추가해주세요~! 추가 후 다음 위치에 File name 입력 후 Next Create XML file from a DTD file 체크 Select XML Catalog entry -> DTD Config 3.0//EN 체크 후 Next -> Finish 가장 윗 빨간박스의 설정 칸 확인, typeAliases -> typeAlias type = ".. .. .. .." -> 객체생성할 위치 지정 alias -> 객체 이름 지정 2019. 11. 18. [Java] Spring applicationContext.xml파일 설정 이번 글은 applicationContext.xml을 설정할 차례이다. 스프링에게 '자바 객체를 만들라'고 선언하는 부분입니다. ★ 어노테이션방식 대부분의 프레임워크는 XML 설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XML 설정이 과도하게 설정되면 내용이 많아지고 부담스러워짐 대부분의 프레임워크가 XML 방식 이외에 어노테이션 방식을 지원합니다. src/main/resources 우클릭 -> Spring Bean Configration File생성 후 위와 같이 실행 Next beans, context, p 체크 beans와 context는 Select desired XSD에서 가장 밑에 xsd를 선택해준다. 파일 생성 후 밑의 코드를 추가한다. ID : dataSource -> DB의 정보를 받아 서버를 시작할 때.. 2019. 11. 18. [Java] Spring servlet-context.XML파일 설정 다음은 Servlet-context.xml 파일을 설정할 차례이다. 첫째로, 네임스페이스로 들어가서 tx를 체크해주고 저장하자. 다시 Source로 돌아가 다음 코드를 추가해준다.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등의 Annotation을 component-scan을 선언해서 사용하고 있다. base-package는 패키지를 어디부터 스캔할지 지정해주는 부분이다. ","를 이용하여 여러개 지정해 줄 수도있다. transactionManager는 Service에서 트랜잭션을 한번에 처리할때 commit을 한번에 도와주는 코드이다. 2019. 11. 18. 이전 1 ···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