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이제 깃허브에 연결 까지 했으니
이제 안드로이드 앱을 만들기위한 발판을 마련해보자
아래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Download Android Studio and SDK tools | Android Developers
The official IDE for Android app developers.
developer.android.com
페이지에 들어가서 초록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파일이 다운로드된다.
이전 버전이 필요하면
그 밑에 Download options 로 들어가면 이전 버전들이 쭈~욱 나오니 거기서 받으시면됍니다~!
설치 과정은 크게 복잡할것없으니 그냥 기본값으로 쭉쭉 설치해주시면 될것같아요!
그럼 설치가 완료되고 실행파일을 키면!
다음과 같은 창이 켜질것이고 New Project를 눌러줍시다!
왼쪽에 Templates는 어떤 기기에 적용할지에 따라 만드는 App이고
우리는 기본적으로 핸드폰으로 하는 앱을 만들거니 Phone And Tablet
그리고 기본 형식은 비어있는
Empty Activity 를 클릭해주시고 하단의 Next!
부가 설명을 하자면
1. Name : 해당 프로젝트의 이름이다 -> AbilitystoneSimulator 로 변경예정
2. Package name : 해당 프로젝트에서 패키지를 만들때 정해지게되는 이름이다
3. Save Location : 프로젝트 저장위치이다.
※ 우리는 깃허브에 연결을했으니 저장위치를 깃허브 원격저장소로 설정해주자.
4. Language : 해당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사용하게 될 언어이다 ( Kotlin , JAVA )
5. Minimum SDK : 안드로이드가 쭉 버전업을하면서 최소한의 버전을 정해주는 부분이다. (본인은 8.0으로 설정하겠다)
낮을 버전을 선택 할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겠지만
고 사양이 필요한 앱일수록 최소 SDK를 맞춰주어야 불상사가 생기지 않는다.
6. Minimum SDK 에 맞춰서 어느정도 퍼센테이지의 기기가 사용할 수 있는지 추산을 해주는 값이다.
다 설정해주고나서 우측 하단의 Finish 버튼 클릭하고나면
자 이제 프로젝트가 생성되었다.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폴더 및 파일들이 생성되었고.
엇 파일들이 생성됐다?
소스트리를 들어가볼까?
많은 파일들이 스테이지에 생겼다.
커밋을 하고 원격저장소에 푸시해보자!
깃허브에 잘 올라갔는지 확인을 해보고~
잘 올라갔다! 이젠 App만 잘 만들면 될것같다!
소스트리를 이용해서 깃허브에 형상관리하는 방법은~
https://theveloper.tistory.com/34
[Android Studio] - 어플만들기_Github_2
이전 글에서는 깃허브에서 레포지터리를 만드는 과정까지 완료했다! 지금은 소스트리를 연결해서 형상관리를 소스트리를 이용하여 앞으로 소스 관리를 하려고한다~ 우선은 레포지터리를 처음
theveloper.tistory.com
게시글에 있습니다~
'Projects > Project(2) - LostArkAbilitySt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Studio] - 어플만들기_안드로이드스튜디오_2 (0) | 2022.04.29 |
---|---|
[Android Studio] - 어플만들기_Github_2 (0) | 2022.04.29 |
[Android Studio] - 어플만들기_Github_1 (0) | 2022.04.28 |
[Android Studio] - 어플만들기_PPT설계문서작성 (0) | 2022.04.28 |
[Android Studio] - 어플만들기_아이템선정 (0) | 2022.04.27 |
댓글